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하위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한국과 미국의 개인부채 크기는 어느정도일까?

2024.03.01

한국의 경우, 국가부채와 가계부채의 총합이 3000조원에 육박한다는 뉴스를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특히, 2023년 말 기준, 가계부채의 경우 1900조원에 육박하며 이는 국민 1인당 평균 3600만원 선의 가계부채가 있다는 의미인데요, 사업자가 아닌 일반적인 가계대출의 경우 생활 자금 명목 혹은 투자 명목으로 받는 신용대출을 비롯해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을 목적으로 받는 부동산 관련 대출금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가파른 집값 상승과 그에 동반 된 아파트 전세금의 상승도 부동산 관련 대출을 많이 일으키게 된 큰 이유이며, 물가 상승에 비례하지 못한 임금 상승률 또한 가계 대출 발생을 증가시킨 큰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1인당 평균 어느정도의 가계 부채가 있을까요? 2023년 말 기준, 미국은 1인당 $104,000의 개인 부채, 이를 한화로 환산할 경우(시장환율 1300원 가정) 1억 3천만원의 부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여타 국가들에 비해 굉장히 높은 학비, 주택구입을 위한 모기지론, 렌트비 등이 높은 개인 부채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부채가 상승함에도, 물가 또한 인플레이션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미국은 금리를 낮추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기도 어렵습니다. 금리를 낮추면, 금융 기관에 묶여있던 돈이 시중으로 많이 유입되기 때문이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심화 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통상 미국의 기준 금리를 따라, 한국의 금리 또한 커플링 되어 따라가기 때문에 한국 또한 미국의 금리 인하 없이, 한국만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1인당 가계 부채가 위처럼 고공 행진을 하는 현상의 시사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① 국가적 차원에서 재정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가계 부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직접적인 정부의 재정 투입이 필요할 것입니다.

② 국가 부채와 가계 부채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국가 신용도를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인 만큼, 장기적으로 국가 신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부채 탕감 정책을 효율적으로 펼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무엇보다 물가 상승률, 집값 상승률에 일정 부분 비례하여 근로 소득 또한 상승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할 것입니다. 높아진 소득을 바탕으로, 원천적으로 대출을 받지 않을 수 있는 경제적 자립력을 높이고 기존 채무의 경우 상환 능력을 높여주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썸네일 개인부채.jpg (대표)